맨위로가기

눈물의 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물의 길"은 19세기 초 미국 정부가 미국 남동부의 원주민 부족들을 강제로 이주시킨 사건을 지칭한다. 1800년대 초 미국 인구 증가와 주 정부의 토지 관할권 강화 시도가 배경이 되었으며,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인디언 이주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다. 체로키족, 촉토족, 세미놀족, 크릭족 등이 강제 이주 대상이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체로키족의 강제 이주는 "눈물의 길"로 묘사되며, 1835년 뉴에코타 조약 체결과 1838년의 강제 이주 작전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미국 역사에서 민족 청소 또는 집단 학살로 평가되기도 하며, 현재는 국립 역사 트레일로 지정되어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로키 네이션 - 체로키 노예 반란
    체로키 노예 반란은 1842년 체로키 영토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 20명이 탈출한 사건으로, 체로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더 엄격한 노예법 제정 및 자유 흑인 추방 요구를 야기했다.
  • 골드 러시 - 탐광
    탐광은 지질학, 지구물리학, 지구화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광물,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유용한 자원을 탐사하는 활동으로, 전통적인 야외 탐사 방식 외에도 전기, 지진, 자기, 중력, 방사능, 지구화학, 보링, 전자기 탐광 등 다양한 현대 기술이 사용되며, 특정 광물 탐사는 사회적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 골드 러시 -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1896년 캐나다 유콘 준주 클론다이크 지역에서 금이 발견되며 시작된 클론다이크 골드 러시는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일확천금을 꿈꾸며 몰려드는 대규모 이주 현상으로, 험난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금을 찾아 미지의 땅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열망을 보여주었다.
  • 미국의 인종청소 - 인디언 이주법
    인디언 이주법은 1830년 미국에서 미시시피 강 동쪽의 다섯 주요 부족을 강제 이주시킨 법률로, 남부의 토지 확보 요구와 부족 간 갈등 해결 시도에서 비롯되었으나, '눈물의 길'로 불리는 강제 이주 과정에서 많은 인디언 사망과 문화 파괴를 초래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 미국의 인종청소 - 로즈우드 학살
    1923년 플로리다주 로즈우드에서 백인 폭도들이 흑인 마을을 공격하여 파괴하고 다수의 흑인 주민들을 살해한 로즈우드 학살은 백인 여성 폭행 혐의로 촉발되었으며, 인종차별 정책 하에 발생하여 마을 파괴와 생존자들의 흩어짐을 낳았고, 1990년대에 진실이 밝혀진 미국 역사 속 인종차별의 비극적인 사건이다.
눈물의 길
개요
눈물의 길 기념관
뉴에코타 역사 유적지의 눈물의 길 기념관. 눈물의 길에서 사망한 체로키족을 기린다.
대상파이브 문명 부족(체로키, 머스코지 (크리크) 부족, 세미놀, 치카소, 촉토)
위치미국 남동부 및 인디언 준주
원인앤드루 잭슨 대통령이 서명한 인디언 이주법
유형강제 이주
인종 청소
대량 학살
사망자13,200–16,700명
이주민60,000명의 미국 원주민이 인디언 준주로 강제 이주됨.
동기미시시피강 동쪽의 아메리카 원주민 땅 확보
미국 내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인종차별
사건 개요
발생 기간1830년–1850년
관련 사건인디언 이주
가해자미국 연방 정부
미국 육군
주 방위군

2. 역사적 배경

19세기 초, 미국의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여러 주 경계에 살고 있던 아메리카 원주민들과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주 정부들은 경계 내에 독립적인 원주민 거류지를 원치 않았지만, 원주민 부족들은 이주나 자신들의 정체성 포기를 원하지 않았다.

1802년 협약에서 조지아주는 연방 정부에 서부 영토(이후 앨라배마주미시시피주가 됨)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 그 대가로 연방 정부는 조지아주 내 원주민 부족들을 이주시키는 조약을 체결하고 실행할 것을 약속했다. 이는 조지아주가 경계 내 모든 토지를 관할하기 위함이었다.

이후 1830년 인디언 이주법이 통과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2. 1. 골드 러시와 체로키족에 대한 압박

1829년 조지아주 덜라너가 인근에서 금광이 발견되면서, 체로키족의 토지에 대한 백인들의 침입이 급증했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골드 러시를 낳았고, 조지아 주 정부는 연방 정부에 1802년 협약 이행을 더욱 강력하게 요구했다.[143]

1830년 조지아주가 체로키족의 토지에 주법을 적용하려 하자, 체로키족은 이에 반발하여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1831년 체로키족 대 조지아주 사건에서 대법원은 체로키족이 독립적인 주권 국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다. 그러나 1832년 우스터 대 조지아주 사건에서는 인디언 문제는 연방 정부의 관할이며, 조지아주가 체로키족 영토에 법을 강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143]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이 판결을 무시하고, 체로키족에 대한 이주 압박을 계속했다. 잭슨은 "존 마셜(당시 대법원장)은 판결을 내렸다. 이제 그 판결을 집행하게 하라"고 말했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 이런 말을 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잭슨은 인디언 이주법에 의거, 조지아 주와의 분쟁을 이용하여 체로키족에게 이주 조약에 서명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43]

2. 2. 앤드루 잭슨 대통령과 인디언 이주법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인디언 이주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잭슨은 당시 무효화 위기로 알려지게 된 주의 권한 문제에 휘말려 있었기 때문에, 조지아에서 체로키 족을 지키기 위해 국가 권력을 행사하려고 생각하지 않았다.[143] 1830년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미국 의회는 대통령에게 동부 인디언의 토지와 미시시피 강 서쪽의 땅을 교환하고, 이주 조약 협상 권한을 부여했다. 잭슨은 조지아 주와의 분쟁을 체로키 족이 이주 조약에 서명하도록 압력을 넣는데 이용했다.[143]

19세기 초, 급속한 미국 인구 증가로 인해 많은 주 경계에 사는 미국 원주민들과 긴장 관계가 고조되었다. 주 정부는 경계 내에 독립적인 원주민 거류지를 원하지 않았으며, 원주민 부족은 이주나 자신의 정체성 포기를 생각하지 않았다.

1802년 협정에서 조지아주는 연방 정부에 대한 서부 영토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 (이 영토는 이후 앨라배마주미시시피주가 되었다) 그 대가로 연방 정부는 조지아 주에 사는 원주민 부족을 이주시키는 조약 체결과 실행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조지아주 경계 내 모든 토지를 관할하는 게 가능했다.

조지아 주와 체로키 족 사이 긴장 관계는 1829년 조지아 주 다로네가 근처에서 금광 발견을 계기로 정점에 달했다. 이것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골드 러시를 낳았다. 기대를 안고 금 채굴 전문가가 체로키 족의 땅을 통과하기 시작했고, 조지아 주 정부에 1802년 맺은 협정을 이행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조지아 주가 1830년에 체로키 족의 땅에 주법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인디언들은 이 문제를 최고재판소까지 상정시켰다. 1831년 체로키 족 대 조지아 주 사건에서 최고재판소는 체로키 족이 독립된 주권 국가가 아니라고 상고를 기각했다. 그러나 1832년 워스타 대 조지아 주 사건에서는 인디언 문제가 주 정부의 문제가 아니라 연방 정부만 관리하는 것이므로, 조지아가 체로키 족의 영토를 법으로 강제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3. 뉴에코타 조약과 체로키족의 분열

1830년 앤드루 잭슨 대통령이 서명한 《인디언 이주법》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인디언 토지와 서쪽의 토지를 교환하는 내용을 담은 뉴에코타 조약의 집행으로 이어졌다. 이 조약은 체로키 족의 선출된 지도자들과 대다수 체로키 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집행되었다.

1829년 조지아 주 다로네가 근처에서 금광이 발견되면서 조지아 주와 체로키 족 사이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골드 러시를 야기했고, 금 채굴을 원하는 사람들이 체로키 족의 땅을 통과하기 시작하면서 조지아 주 정부는 1802년의 협정을 이행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조지아 주가 1830년에 체로키 족의 땅에 주 법을 적용하려 하자, 체로키 족은 이 문제를 최고재판소까지 끌고 갔다. 1831년 체로키 족 대 조지아 주 사건에서 최고재판소는 체로키 족이 독립된 주권 국가가 아니라고 판결했지만, 1832년 워스터 대 조지아 주 사건에서는 인디언 문제는 주 정부가 아닌 연방 정부만이 관리할 수 있다고 판결하여 조지아 주가 체로키 족의 영토에 법을 강제할 수 없다고 보았다.

하지만 잭슨 대통령은 인디언 이주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는 주의 권위 문제에 휘말려 있었기 때문에 조지아 주에서 체로키 족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 권력을 행사하려 하지 않았다. 1830년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미국 의회는 대통령에게 동부 인디언의 토지와 미시시피 강 서쪽의 땅을 교환하고 이주 조약을 협상할 권한을 부여했다. 잭슨은 조지아 주와의 분쟁을 이용하여 체로키 족에게 이주 조약에 서명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체로키의 대추장, 존 로스, 1800년대 말


메이저 리지


1832년 대통령 선거에서 잭슨이 재선되면서, 체로키 족 내에서 가장 강경하게 이주에 반대하던 사람들조차 그 입장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시작했다. 체로키 족의 메이저 리지가 이끄는 "리지 당" 혹은 "조약 당"은 백인 불법 거주자나 주 정부와의 폭력 투쟁으로 사태가 악화되기 전에 미국에게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 내는 것이 체로키 족에게 더 이익이 된다고 믿었다. 존 리지는 1820년대 후반에 잭슨의 관료들과 비공식적인 대화를 시작했고, 조지아 주는 체로키 족의 이주를 예측하고 체로키 땅을 시민에게 나누어 분배를 해주기 위해 추첨을 준비했다.

하지만 체로키 족의 선출된 수장 존 로스와 그 외 대다수의 인디언들은 이주에 단호하게 반대했다. 1832년 로스 수장은 부족 선거를 취소하고, 리지 당을 규탄하면서 그 당원 한 사람을 죽였다. 이에 리지 당은 체로키 족의 일부만을 대표하는 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사건으로 체로키 족은 두 개로 분열되었고, 서부 체로키 족은 메이저 리지가 이끌었고, 동부 체로키 족은 존 로스를 수장으로 인정하였다.

3. 1. 뉴에코타 조약 (1835년)

1832년 대통령 선거에서 앤드루 잭슨이 압도적인 승리로 재선되면서, 체로키 족 내에서 이주에 가장 강경하게 반대하던 사람들조차 입장을 재고하기 시작했다. 메이저 리지가 이끄는 체로키 족 내 소수파("리지 당" 또는 "조약 당")는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체로키 족의 토지를 미시시피 강 서쪽의 땅과 교환하는 뉴에코타 조약에 서명했다. 이들은 백인 무단 거주자나 주 정부와의 폭력 사태가 악화되기 전에 미국으로부터 유리한 조건을 얻어내는 것이 체로키 족에게 더 이익이라고 믿었다.[52] 메이저 리지의 아들 존 리지는 1820년대 후반부터 잭슨 행정부와 비공식 대화를 시작했다. 한편, 조지아 주는 체로키 족의 이주를 예상하고 체로키 족의 토지를 시민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추첨을 준비했다.

그러나 체로키 족의 선출된 수장 존 로스와 대다수의 체로키 족은 이주에 단호하게 반대했다. 1832년, 로스 수장은 부족 선거를 취소하고 리지 당을 비난하며 당원 한 명을 살해했다. 이에 리지 당은 체로키 족의 일부만을 대표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맞섰다. 이로 인해 체로키 족은 둘로 나뉘었고, 서부 체로키 족은 메이저 리지가 이끌었으며, 동부 체로키 족은 존 로스를 수장으로 인정했다.

1835년, 잭슨은 존 F. 셔머혼 목사를 조약 협상 대리인으로 임명했다. 미국 정부는 체로키 족의 이주 대가로 450만달러를 지불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이는 1835년 10월 체로키 위원회에서 거절되었다. 로스 수장은 자신이 이끄는 부족과 리지 당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존 리지와 함께 새로운 협상을 위해 워싱턴 D.C.로 갔지만, 셔머혼과의 협상을 강요받았다.

한편, 셔머혼은 조지아 주 뉴에코타에서 이주 찬성파와 위원회를 소집했다. 수천 명의 체로키 족 중 불과 500명만이 소집에 참석했고, 1835년 12월 30일, 메이저 리지와 엘라이어스 부디놋을 포함한 21명의 체로키 족 이주 찬성파가 뉴에코타 조약에 서명하거나 서명 대용으로 "X" 표시를 남겼다. 존 리지와 스탠드 와티는 조약문이 워싱턴 D.C.에 돌아왔을 때 서명했다. 예상대로 로스 수장은 서명을 거부했다. 조약에 서명한 사람들은 1829년 존 리지가 기초하여 제정한 체로키 족의 규칙을 위반한 것이었다. 이 규칙에 따르면 체로키 족의 토지를 매도하는 데 동의한 범법자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체로키 위원회는 아무도 서면으로 서명하지 않았다. 이 조약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체로키 족 토지를 매도하는 것에 동의하는 내용이었다. 체로키 위원회와 로스 추장은 이 문서가 사기라고 강력하게 항의했지만, 1836년 5월 23일, 미국 의회는 단 한 표 차이로 조약을 비준했다.[53] 이때 리지 당을 포함한 많은 체로키 족이 서부로 이동하여 이미 이주해 있던 사람들과 합류했다. 1836년 말까지 6,000명 이상의 체로키 족이 서부로 이주했다. 그러나 16,000명 이상의 체로키 족이 남부에 남아 있었고, 조약 집행 기한은 2년밖에 남지 않았다.

3. 2. 체로키족의 저항과 미국의 반응



뉴에코타 조약에 대한 대대적인 항의가 이어졌다. 1838년 봄, 존 로스 추장은 15,000명 이상의 체로키족 서명을 모아 미국 의회에 조약 무효를 청원했다. 랄프 왈도 에머슨 등 미국의 양심적인 지식인들도 체로키족의 강제 이주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예를 들어, 1838년 4월 23일, 에머슨은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후계자인 마틴 밴 뷰런에게 편지를 써서 "체로키족에 대한 엄청난 침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155]

그러나 1838년 5월 23일, 자발적인 이주 기한이 다가오자 밴 뷰런 대통령은 윈필드 스콧 장군에게 강제 이주 작전을 지시했다. 스콧 장군은 약 7,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5월 17일 뉴에코타에 도착했다. 부대는 5월 26일부터 조지아주에서 체로키족을 집결시키기 시작했고, 10일 후에는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주, 앨라배마주로 작전을 확대했다.

4. 강제 이주

1830년에서 1850년 사이, 치카소 족, 촉토 족, 머스코지 족, 크릭 족, 세미놀 족, 체로키 족과 그들과 함께 살던 유럽 이민자, 아프리카계 흑인 자유민 및 노예들은 전통적인 삶의 터전에서 서쪽 지역으로 강제 이주를 당했다.[149] 이들은 이주 과정에서 추위, 질병, 굶주림으로 고통받았으며, 많은 수가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했다.

1838년 5월 23일, 마틴 밴 뷰런 대통령은 윈필드 스콧 장군에게 강제 이주 작전을 지휘하도록 명령했다. 스콧 장군은 약 7,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체로키족을 강제 이주시켰다.

눈물의 길에 세워진 체로키 족 추모비


체로키족은 이 사건을 "우리가 울었던 길"(nvnadaulatsvyichr)이라고 부른다. 이 사건은 1830년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체결된 뉴에코타 협약의 집행으로 이루어졌다. 이 조약은 동부 인디언 토지와 미시시피 강 서쪽 토지를 교환하는 내용이었으나, 체로키족 대다수는 이 조약에 찬성하지 않았다.[149]

1838년 봄, 존 로스 추장은 15,000명 이상의 체로키족 서명을 모아 미국 의회에 조약 해제를 청원했다. 많은 미국 백인도 조약의 합법성에 분노하며 체로키족 강제 이주 중단을 촉구했다. 랄프 왈도 에머슨은 마틴 밴 뷰런에게 편지를 써서 "체로키 족에 대한 엄청난 침범 행위"를 중단할 것을 호소했다.[149]

치카소 족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토지에 대해 미국으로부터 금전적 보상을 받았다. 1836년, 치카소 족은 5년간의 논쟁 끝에 이전에 이주한 초크토 족으로부터 토지를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그들은 초크토 족의 가장 서쪽 부분의 토지에 대해 530000USD를 지불했다. 첫 번째 치카소 족은 1837년에 이주했으며, 존 M. 밀라드가 이끌었다. 치카소 족은 1837년 7월 4일, 모든 자산을 가지고 테네시주, 멤피스에 모였다. 미시시피 강을 건넌 후, 그들은 이전에 초크토 족과 크릭 족이 사용했던 경로를 따랐다. 인디언 영토에 도착한 후, 치카소 족은 초크토 족 국가와 합쳐졌다.

남부 이주
국가이주 전 인구조약 및 연도주요 이주 시기총 이주자 수잔류 인원이주 중 사망자 수전쟁 중 사망자 수
초크토19,554[149]댄싱 래빗 크릭 (1830)1831–183615,000[149]5,000–6,000[108][109][110]2,000–4,000+ (콜레라)[149]없음
크릭 (머스코기)22,700 + 900명의 흑인 노예[111]커세타 (1832)1834–183719,600[112]744[115]3,500–4,500 (이주 후 질병)[116]알 수 없음 (1836년 크릭 전쟁)
치카소4,914 + 1,156명의 흑인 노예[113]폰토톡 크릭 (1832)1837–18474,600[115]400[115]500–800없음
체로키16,542 + 201명의 결혼한 백인 + 1,592명의 흑인 노예[114]뉴 에코타 (1835)1836–183816,000[149]1,5004,000–8,000[116]없음
세미놀3,700–5,000[117] + 탈주 노예페인의 랜딩 (1832)1832–18422,833[154]–4,000[118]250[154]–500[119] 또는 575[115]최대 5,500명 (제2차 세미놀 전쟁)


4. 1. 체로키족의 강제 이주

약 17,000명의 체로키족 인디언과 부유한 체로키족이 소유하고 있던 약 2,000명의 흑인 노예들은 살던 집에서 총구에 위협을 당하며, 3주간에 걸쳐 이동하며 캠프에 집결하였다. 대부분은 짐도 제대로 챙겨오지 못했다.[149] 이들은 테네시 강을 따라 로스즈 랜딩(테네시주 채터누가), 건터즈 랜딩(앨라배마주 건터즈빌), 하이와시 강(테네시주 찰스톤)을 따라 체로키족 국가 주변의 목적지인 테네시주 찰스턴으로 이동하였다. 그 지점에서 인디언 준주(현재의 오클라호마)까지 대부분 걸어서 이동했고, 때로는 말과 마차, 보트를 갈아타고 약 1,900km의 거리를 세 갈래 길로 나눠서 진행했다.[149]

이 과정에서 이질 등의 전염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었다. 추위, 질병, 기아 등으로 인해 2,000명에서 최대 8,000명으로 추정되는 체로키족이 사망했다.[151][152][153]

4. 2. 촉토족의 강제 이주

촉토족은 현재의 앨라배마주, 미시시피주, 루이지애나주에 거주하던 원주민 부족이었다. 1801년부터 시작된 일련의 조약으로 촉토족의 영토는 45,000 km2로 줄어들었다. 1831년 댄싱 래빗 조약이 비준되면서 촉토족은 미시시피 강 서쪽으로 이주하게 되었다.[149] 이 조약은 일부 촉토족의 잔류를 허용하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결국 강제 이주가 시행되었다.

촉토족 지도자 조지 W. 하킨스는 이주가 시작되기 전 미국 시민들에게 보내는 고별사에서 "우리(촉토족)는 법의 영향을 받으며 사는 것보다 고통을 선택하고, 자유로워질 것을 선택하고자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목소리가 그들에게는 들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하며 이주의 비극성을 강조했다.[149]

육군 장관 루이스 카스는 조지 가인즈를 이주 관리자로 임명했다. 가인즈는 1831년부터 1833년까지 3단계에 걸쳐 촉토족을 이주시킬 계획을 세웠다. 첫 번째 이주는 1831년 11월 1일 멤피스와 빅스버그에서 시작되었으나, 갑작스러운 홍수와 혹독한 겨울 날씨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 홍수로 인해 마차 수송이 불가능해지자, 증기선 다섯 척(월터 스콧, 브랜디와인, 레인디어, 탈마, 클레오파트라 호)이 동원되어 촉토족을 강을 따라 목적지로 수송했다. 멤피스에서 출발한 이주민들은 아칸서스 포스트에 도착했으나, 영하의 날씨와 얼음으로 뒤덮인 강 때문에 거의 1주일 동안 발이 묶였다. 이들에게는 하루에 삶은 옥수수 한 줌, 순무 한 뿌리, 끓인 물만이 배급되었다. 이후 정부 마차 40대가 파견되어 리틀 락으로 이송되었는데, 이때 촉토족 추장(토마스 하킨스 또는 니티케치로 추정)은 아칸서스 신문에 이주를 "눈물과 죽음의 길"이라고 표현했다.[149] 빅스버그에서 출발한 이주민들은 무능한 안내인 때문에 프라비던스 습지에서 길을 잃기도 했다.

1831년 멤피스에서 촉토족의 이주를 목격한 프랑스 철학자 알렉시 드 토크빌은 "전반적인 광경에는 황폐와 파괴의 분위기, 그리고 최후의 돌이킬 수 없는 작별을 암시하는 무언가가 있었다. 슬픔 없이는 볼 수 없는 광경이었다."라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한 인디언에게 "왜 당신네들은 당신의 나라를 떠납니까?"라고 물었더니, "자유롭고 싶어서요!"라는 답을 들었다고 전했다.[149]

약 17,000명의 촉토족이 인디언 준주(현재의 오클라호마)로 이주했으며, 이 과정에서 2,500명에서 6,000명 가량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831년 이주 이후에도 약 5,000명에서 6,000명의 촉토족이 미시시피에 남았지만, 이들은 분쟁, 희롱, 협박에 시달렸다. 촉토족들은 "주거지는 파괴되고, 불탔으며, 방벽은 파괴되고, 가축은 내몰렸고, 우리 자신들은 괴롭힘을 당하고, 속박되었으며, 족쇄를 차거나 개인적으로 학대를 당하였다. 그런 대우로 친한 친구들 중 일부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묘사했다.

미시시피에 남은 촉토족들은 미시시피 촉토 밴드가 되었고, 이주한 촉토족들은 오클라호마 촉토 국가를 형성했다.

4. 3. 세미놀족의 저항

페인스 랜딩 조약은 1832년 미국 정부와 세미놀족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세미놀족에게 플로리다를 떠나 서부로 이주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많은 세미놀족은 이 조약에 반대하며 이주를 거부했다. 이들은 크릭족 보호구역으로 이주하여 크릭족의 일부가 되어야 했는데, 크릭족은 세미놀족을 탈영병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세미놀 전사, 투코 씨 매슬라, 1834


새로운 보호구역을 조사하기 위해 7명의 세미놀 족장이 파견되었으나, 이들은 1833년 3월 28일 새로운 토지를 수용하겠다는 성명서에 서명한 후 플로리다로 돌아와 서명을 부인하거나 강제로 서명당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모든 부족민을 대표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다. 애팔래치아 강 지역의 마을들은 비교적 쉽게 설득되어 1834년에 이주했다.[154]

1835년 12월 28일, 세미놀족과 흑인들이 미 육군 부대를 공격하여 3명을 제외한 전원을 사살하는 데이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세미놀족의 저항이 본격화되면서 플로리다는 전쟁 준비에 돌입했다. 세인트 오거스틴 민병대는 500정의 머스킷 소총을 요청했고, 500명의 자원병이 소집되었다. 오세올라가 이끄는 세미놀 전사대는 민병대 보급 열차를 습격하여 여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후 설탕 농장이 파괴되고, 많은 노예들이 세미놀족에 합류했다.[73]

할렉 투스테누기, 점퍼, 흑인 세미놀족 아브라함과 존 호스 같은 다른 전쟁 족장들은 미군에 맞서 세미놀족의 저항을 계속했다. 10년간의 전투 끝에 1842년에 전쟁이 종식되었다. 미국 정부는 전쟁에 약 2000만달러를 지출한 것으로 추산된다. 많은 인디언들이 미시시피 서쪽의 크릭족 땅으로 강제 추방되었고, 다른 인디언들은 에버글레이즈로 후퇴했다. 결국, 정부는 에버글레이즈의 세미놀족을 복종시키려는 시도를 포기하고 500명 미만의 세미놀족을 평화롭게 남겨두었다. 다른 학자들은 세미놀 전쟁 이후 에버글레이즈에 최소 수백 명의 세미놀족이 남아 있었다고 주장한다.[74]

세미놀 전쟁의 결과로, 에버글레이즈에 생존한 세미놀족은 주권을 포기하거나 미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한 적이 없는 유일하게 연방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인디언 부족이라고 주장한다.[75]

4. 4. 크릭족의 강제 이주

셀록타 친나비(Shelocta)는 무스코기 족장으로, 포트 잭슨 조약 서명 당시 크릭 족의 토지 요구를 줄여달라고 앤드루 잭슨에게 호소했다.


1812년 전쟁 이후, 윌리엄 맥킨토시와 족장 셀록타 등 일부 무스코기 지도자들은 조지아에 더 많은 토지를 할양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1814년 포트 잭슨 조약 서명은 크릭 국가와 남부의 모든 인디언에게 종말을 고하는 신호였다.[77] 셀록타와 빅 워리어 같은 우호적인 크릭 지도자들은 샤프 나이프(앤드루 잭슨의 인디언 별명)에게 평화를 유지하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그럼에도 잭슨은 그들에게 기회가 있었을 때 "(테쿰세의) 목을 베지" 않았으므로 이제 크릭 족의 토지를 할양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잭슨은 또한 인디언과 그들의 국가에 주권을 회복하는 겐트 조약 제9조를 무시했다.[77]

크릭 연합은 더 이상의 토지 할양을 사형으로 규정하는 법을 제정했다. 그럼에도 1825년 2월 12일, 맥킨토시와 다른 족장들은 조지아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크릭 토지를 포기하는 인디언 스프링스 조약에 서명했다.[78] 미국 상원이 조약을 비준한 후, 맥킨토시는 1825년 4월 30일 메나와가 이끄는 크릭 족에 의해 암살되었다.

오포틀레 요홀라가 이끄는 크릭 국민 회의는 인디언 스프링스 조약이 사기라고 미국에 항의했다. 존 퀸시 애덤스 대통령은 동정했고, 결국 조약은 워싱턴 조약에서 무효화되었다.[79] 그러나 조지 트루프 조지아 주지사는 새 조약을 무시하고 이전 조약 조건에 따라 인디언을 강제 이주시키기 시작했다. 애덤스 대통령은 처음에는 연방군을 동원해 개입하려 했지만, 트루프가 민병대를 소집하자 내전을 두려워해 양보했다.

크릭 족이 조지아에서 강제로 쫓겨나 많은 로어 크릭 족이 인디언 영토로 이주했지만, 약 2만 명의 어퍼 크릭 족이 앨라배마에 남아 있었다. 주는 부족 정부를 폐지하고 주법을 크릭 족에게 확대하려 했다. 오포틀레 요홀라는 앨라배마로부터 보호를 위해 앤드루 잭슨 대통령 행정부에 호소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자 1832년 3월 24일 커세타 조약이 체결되어 크릭 족의 토지가 개인 할당지로 분할되었다.[81] 크릭 족은 할당지를 팔아 서쪽으로 이주할 자금을 받거나, 앨라배마에 남아 주법을 준수할 수 있었다. 그러나 크릭 족에게 조약 조건을 준수할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미국인들의 불법 토지 정착은 계속되었고, 연방 및 주 당국은 이를 막을 수 없거나 막으려 하지 않았다. 또한, 크릭 족의 할당지를 속이기 위한 다양한 사기 계획이 커세타 조약 서명 이후 조지아주 콜럼버스와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활동하는 투기꾼들에 의해 조직되었다.[82] 절망적일 정도로 가난하고 미국인 이웃에게 학대와 억압을 받는다고 느끼는 고립된 크릭 족의 일부는 지역 농장에 대한 습격 및 기타 고립된 폭력 행위로 반격했다.

1836년 5월, 크릭 족과 미국 영토 경계에 있는 차타후치 강을 따라 위치한 조지아주 로아노크 마을이 파괴된 후, 긴장이 고조되어 미국과 공개 전쟁이 발발했다. 소위 "1836년 크릭 전쟁" 동안 루이스 카스 전쟁 장관은 윈필드 스콧 장군을 파견하여 크릭 족을 미시시피 강 서쪽의 인디언 영토로 강제 이주시켜 폭력을 종식시켰다. 1830년 인디언 이주법으로 인해 1835년까지, 그리고 1836년 이후에도 15,000명 이상의 크릭 족이 마지막으로 그들의 땅에서 쫓겨났다. 그중 3,500명은 정착지인 오클라호마로 가는 여행에서 살아남지 못했다.[56]

크릭 족 이주 현황
이주 전 인구조약 및 연도주요 이주 시기총 이주자 수잔류 인원이주 중 사망자 수전쟁 중 사망자 수
22,700명 + 흑인 노예 900명[111]커세타 (1832)1834–183719,600명[112]744명[115]3,500–4,500명 (이주 후 질병)[116]알 수 없음 (1836년 크릭 전쟁)


5. 강제 이주 이후

눈물의 길의 아칸소주 매리언 역사 표지


아칸소주 빌리지 크릭 주립 공원 (2010)에 남아있는 눈물의 길 일부


치카소 족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토지에 대해 미국으로부터 금전적 보상을 받았다. 1836년, 치카소 족은 5년간의 격렬한 논쟁 끝에 이전에 이주한 초크토 족으로부터 토지를 구매하기로 합의하고, 초크토 족의 가장 서쪽 부분의 토지에 대해 530000USD를 지불했다. 1837년 존 M. 밀라드가 이끄는 첫 번째 치카소 족이 이주했으며, 이들은 1837년 7월 4일 모든 자산(소지품, 가축 및 노예)을 가지고 테네시주 멤피스에 모였다. 미시시피 강을 건넌 후, 그들은 이전에 초크토 족과 크릭 족이 사용했던 경로를 따랐다. 인디언 영토에 도착한 후, 치카소 족은 초크토 족 국가와 합쳐졌다.

1838년까지 약 2,000명의 체로키족이 조지아에서 인디언 영토 (현재 오클라호마)로 자발적으로 이주했다. 강제 이주는 1838년 5월 윈필드 스콧 장군이 마틴 밴 뷰런 대통령으로부터 나머지 체로키족을 이주시키라는 최종 명령을 받으면서 시작되었고,[56] 오클라호마로 향하는 여정에서 약 4,000명의 체로키족이 사망했다.[83] 체로키어로 이 사건은 nu na da ul tsun yichr ("그들이 울었던 곳") 또는 nu na hi du na tlo hi lu ichr (그들이 울었던 길)라고 불린다. 체로키 눈물의 길은 1830년 인디언 이주법의 조항에 따라 서명된 뉴 에코타 조약의 시행으로 인해 발생했다. 이 조약은 동부의 인디언 토지를 미시시피 강 서쪽의 토지와 교환하는 내용이었지만, 선출된 부족 지도자나 대다수의 체로키족은 결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84]

엘리자베스 "베치" 브라운 스티븐스 (1903), 1838년에 눈물의 길을 걸었던 체로키 인디언


1830년대 인디언 이주법을 시행하는 동안 체로키 국가 내에서 젠더 관계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체로키족은 역사적으로 모계 친족 관계를 유지했으며, 자녀는 어머니의 씨족에 속했고 유일한 친척은 그녀를 통해 추적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모계 사회일 뿐만 아니라 체로키족은 모계 거주지였다.[85] 박물학자 윌리엄 바트람에 따르면, "결혼은 남편에게 아내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지 않으며, 헤어질 때 아내는 자녀와 그들에게 속한 재산을 유지한다."[86] 이러한 방식으로 전형적인 체로키 가족은 아내가 재산, 집, 자녀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87] 그러나 1820년대와 1830년대 동안 "체로키족은 [부유하고 고도로 동화된 남성이 지배하고 여성…을 종속시키는 이데올로기를 지지하는] 앵글로-아메리카식 권력 개념을 채택하기 시작했다."[88]

뉴 에코타 조약은 주로 남성에 의해 서명되었다. 여성들은 조약을 협상하는 럼프 위원회에 참석했지만, 회의에 참여할 자격은 없었다.[89] 역사가 테다 퍼듀는 "체로키 여성들은 참여할 수는 없었지만 자신들의 의견을 논의하기 위해 자체 위원회를 열었다"고 설명한다.[90] 여성들이 뉴 에코타 조약 협상 및 서명에 참여할 수 없었다는 사실은 식민 침략 이후 체로키 국가 내에서 여성의 역할이 어떻게 극적으로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체로키 여성들은 1785년까지 토지 거래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국을 지원한 체로키족의 토지 양도를 명확히 하고 연장하기 위해 사우스캐롤라이나 호프웰에서 열린 조약 회담에서 발언했다.[91]

인구가 증가하는 조지아 농부들에게 인구가 드문 체로키족의 토지는 매우 매력적이었고, 불법 정착이 이루어졌다. 조지아와 체로키 국가 간의 오랫동안 지속된 긴장은 1829년 조지아주 덜로네가 근처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위기에 봉착했고, 이는 미국 역사상 두 번째 골드 러시인 조지아 골드 러시로 이어졌다. 금을 기대하는 투기꾼들은 체로키족의 토지에 무단 침입하기 시작했고, 미국 정부가 조지아주 내 인디언 토지 청구를 소멸시키기로 약속한 ''1802년 협약''을 이행하라는 압력이 가해졌다.

1830년 조지아가 체로키족의 토지에 주법을 확대하려 하자, 문제는 미국 대법원으로 넘어갔다. 체로키 네이션 대 조지아 사건 (1831)에서 존 마셜 법원은 체로키 국가가 주권적이고 독립적인 국가가 아니라고 판결하여 사건을 기각했다. 그러나 우스터 대 조지아 사건 (1832)에서 법원은 조지아가 체로키 영토에 법을 부과할 수 없다고 판결했는데, 이는 주 정부가 아닌 국가 정부만이 인디언 문제에 대한 권한을 갖기 때문이었다. ''우스터 대 조지아 사건''은 앤드루 잭슨의 유명하지만 사실이 아닌 인용구와 관련이 있다. "존 마셜이 결정을 내렸으니 이제 그가 집행하게 놔두시오!" 사실, 이 인용구는 사건 발생 30년 후에 나타났으며 잭슨 비판가 호레이스 그린리가 저술한 교과서에 처음 인쇄되었다.[62]

USDA – 미국 산림청에서 제작한 남부 일리노이의 눈물의 길 지도


연방군과 조지아 민병대 간의 공개적인 전쟁을 두려워한 잭슨은 조지아주에 대한 체로키족의 주장을 강제로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는 이미 사우스캐롤라이나와 헌법적 위기에 휘말려 있었고 (즉, 무효화 위기) 남북 전쟁보다 체로키족 이주를 선호했다.[62] 1830년 인디언 이주법을 통해 미국 의회는 잭슨에게 이주 조약을 협상할 권한을 부여하여 동부의 인디언 토지를 미시시피 강 서쪽의 토지와 교환했다. 잭슨은 조지아와의 분쟁을 이용하여 체로키족에게 이주 조약에 서명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의회에서 단 한 표 차이로 통과된 최종 조약은 미국 대통령 앤드루 잭슨에 의해 서명되었고, 그의 후임인 마틴 밴 뷰런 대통령에 의해 강요되었다. 밴 뷰런은 조지아,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앨라배마에 7,000명의 민병대원, 정규군, 자원병으로 구성된 무장 부대를 클리블랜드, 테네시로 약 13,000명의 체로키족을 이주시키도록 허가했다. 최초의 체포 작전 이후, 미군은 오클라호마로의 이주를 감독했다. 이전 체로키족의 토지는 즉시 정착을 위해 열렸다. 여행 중 사망자의 대부분은 이례적으로 추운 겨울 동안 질병, 영양실조, 노출로 인해 발생했다.

1838년 겨울에 체로키족은 행진을 시작했고 의복이 부족했고 대부분 신발이나 모카신 없이 걸었다. 행진은 체로키 국가의 마지막 동부 수도였던 테네시주 레드 클레이에서 시작되었다. 질병 때문에 인디언들은 가는 길에 어떤 마을이나 마을에도 들어갈 수 없었다. 많은 경우 이것은 마을을 돌아가기 위해 훨씬 더 멀리 여행해야 함을 의미했다.[92] 테네시와 켄터키를 건너 약 1838년 12월 3일경 오하이오 강 건너편 일리노이주 남부의 골콘다에 도착했다. 여기서 굶주린 인디언들은 "베리의 페리"에서 강을 건너는 데 머리당 1USD를 청구받았다. 그들은 강을 건너고 싶어하는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페리가 서비스를 제공할 때까지 통행이 허용되지 않았고, "베리가 할 일이 없을 때까지" 켄터키 쪽에 있는 보호 절벽인 "만틀 록" 아래에서 피난처를 취해야 했다. 많은 사람들이 건너기를 기다리는 만틀 록에서 옹기종기 모여 죽었다. 여러 체로키족이 지역 주민들에게 살해당했다. 체로키족은 일리노이주 비엔나의 법원을 통해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살해된 체로키족을 매장하기 위해 머리당 35USD를 정부에 청구했다.[92]

12월 26일 일리노이주 남부를 건너면서 모세스 다니엘의 분견대에서 식량 담당관이었던 마틴 데이비스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일리노이주에서 경험한 가장 추운 날씨입니다. 개울은 모두 약 약 20.32cm 두께로 얼어붙었습니다. 우리와 동물을 위해 물을 얻기 위해 얼음을 깨야 합니다. 여기서 2~3일마다 눈이 내립니다. 우리는 현재 미시시피 [강] 늪에 캠프를 치고 있으며 강에서 약 6.44km 떨어진 곳에 있고 매일 강을 따라 떠내려오는 얼음 때문에 강을 건널 기회가 없습니다. 우리는 지난달에 약 104.61km를 여행했을 뿐이며, 이 장소에서 보낸 시간도 포함하여 약 3주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언제 강을 건널지는 알 수 없습니다....[93]

이주에 참여한 조지아 출신의 자원병은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 나는 남북 전쟁을 치렀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산산조각이 나서 학살되는 것을 보았지만, 체로키족 이주가 내가 아는 가장 잔인한 일이었다.[94]

결국 오하이오 강과 미시시피 강 사이의 육지에서 약 96.56km를 건너는 데 거의 3개월이 걸렸다.[95] 체로키족이 가장 많은 죽음을 겪은 곳은 일리노이 남부를 여행하는 동안이었다. 그러나 강제 이주 몇 년 전, 자발적으로 집을 떠나기로 선택한 일부 체로키족은 테네시, 오하이오, 미시시피 강을 통한 물길을 선택했다. 21일밖에 걸리지 않았지만, 강제로 이주된 체로키족은 물 여행을 꺼렸다.[96]

환경 연구원 데이비드 게인스와 제레 크라코우는 "비유럽계 미국인이 땅을 재산으로 보는 관점과 비교하여 인디언이 땅을 존중하는 방식"의 차이에 기초한 "비극적인 체로키족 이주의 맥락"을 설명한다.[97] 사회학자 그레고리 훅스와 채드 L. 스미스에 따르면, 토지에 대한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미국 정부가 "서부의 정착과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원주민의 가옥을 "기증하고 판매"하도록 이끌었고, 철도 개발자, 백인 정착민, 토지 개발자, 광산 회사가 소유권을 인수했다.[98] 콜빌 학자 디나 길리오-휘태커에 따르면,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서 그것은 "고향과 성지에 대한 고대 연결의 상실", "길에서 25%에 달하는 사망자", "생명을 유지하는 가축과 작물의 손실"을 초래했다.[99]

디나 길리오-휘태커는 눈

5. 1. 체로키족의 정착과 분열

이주한 체로키족은 오클라호마주 털리쿼 근처에 정착했다.[155] 뉴에코타 조약과 눈물의 길로 인한 정치적 혼란 속에, 조약 체결 당사자였던 메이저 리지, 존 리지, 엘라이어스 부디놋은 암살되었다.[155] 릿지당의 지도자 중 유일하게 스탠드 와티만 암살을 피했다.[155]

체로키족의 인구는 결국 원래대로 회복되었고,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큰 미국 인디언 집단이 되었다.[155]

5. 2. 남은 사람들

일부 체로키족은 미국 군인들을 피해 조지아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 등지에 남아 있었다. 특히 노스캐롤라이나주의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에 살던 약 400명의 체로키족은 백인 윌리엄 홀랜드 토마스(어릴 때 체로키족의 양자가 됨)의 도움으로 이주를 피할 수 있었다.[155] 이들은 동부 체로키 부족의 기원이 되었다.

6. 눈물의 길에 대한 평가와 논란

"눈물의 길"은 미국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인종 청소, 집단 학살, 문화적 집단 학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역사학자 로버트 V. 레미니는 앤드루 잭슨의 아메리카 원주민 정책이 선의에 기반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잭슨이 인디언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번성하고, 교육을 받으며, 백인 문명의 기술을 습득하여 미국 시민이 되기를 기대했다고 말한다. 잭슨은 강제 이주가 이들을 멸망으로부터 구할 것이라고 믿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자 숀 윌렌츠는 일부 비평가들이 잭슨 시대의 민주주의를 과장되게 묘사한다고 지적한다. 도널드 B. 콜은 잭슨의 정책에서 집단 학살 의도를 찾기 어렵지만, 그가 원주민 복지를 위해 행동했다는 생각은 일축한다. 식민지 역사학자 다니엘 블레이크 스미스는 집단 학살 용어 사용에 동의하지 않으며, 강제 이주 과정에서 체로키인들이 죽기를 바란 사람은 없었다고 덧붙인다.

6. 1. 용어와 분류 논쟁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눈물의 길을 어떻게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사건들을 민족 청소의 한 형태로 분류하며,[122][123][29] 다른 이들은 이를 집단 학살이라고 부른다.[99][41][44]

역사학자 제프리 오스틀러는 집단 학살의 위협이 원주민들이 강제 이주 정책에 순응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며, "결과와 순응을 얻기 위해 사용된 수단에서 이 정책은 집단 학살적 차원을 가졌다"고 결론짓는다.[128] 록산 던바-오르티즈는 이 정책을 집단 학살이라고 묘사하며, "미국 정부의 원주민 처리 방식, 즉 조직적인 집단 학살, 재산 강탈, 완전한 예속을 포함하는 과정은 1830년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연방 정책 하에서 최저점에 도달했다"고 말했다.[44]

반면, 역사학자 저스틴 D. 머피는 "비록 '눈물의 길'이 비극적이었지만, 집단 학살의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며, 비록 이주를 통해 부족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허용되었다는 점은 문화적 집단 학살의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라고 주장한다.[127]

6. 2. 기념 및 추모

1987년, 미국 의회는 "눈물의 길 국립 역사 도로"를 지정하여 체로키족 강제 이주 경로를 보존하고 있다.[131] 이 도로는 9개 주에 걸쳐 있으며, 총 길이는 이다.[132]

눈물의 길 표지판, 71번 고속도로, 파예트빌, 아칸소


체로키 헤리티지 센터 (탈레키아)


체로키 역사 협회는 야외 극장인 마운틴사이드 극장에서 커밋 헌터가 쓴 역사 드라마 ''언투 디즈 힐스(Unto These Hills)''를 공연하여 눈물의 길을 기리고 있다. 이 드라마는 1950년 7월 1일 초연 이후 5백만 장 이상의 티켓을 판매했다.[133][134]

체로키 국가 출신의 자전거 타는 사람들은 매년 "리멤버 더 리무벌 자전거 타기" 행사를 통해 조상들이 걸었던 길을 따라 950마일 이상을 달린다. 이들은 하루 평균 약 를 달리며, 체로키 국가의 옛 수도인 뉴 에코타, 조지아주에서 여정을 시작하여 털리쿼, 오클라호마주에서 마무리한다.[135] 2024년 6월, 쇼나 베이커 체로키 국가 대법원 판사는 제40회 기념 자전거 타기의 멘토 사이클리스트였다.[136]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2004년 캔자스주 상원 의원인 공화당의 샘 브라운 백은 과거의 "인디언 부족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대해 "미국을 위해 원주민에게 사죄한다"라는 공동 결의안을 제안했다. (상원 협력 결의안 37). 2009년말 연방 상하원은 이를 통과시켰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12월에 이 결의안에 서명했다.[156]

2010년 5월 20일, 미국 정부는 과거 아메리칸 원주민인 인디언에 대한 폭력행위와 잘못된 정책들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샘 브라운백 캔자스 공화당 상원의원은 워싱턴 DC의 의회묘지에서 인디언 부족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 행사에서 과거 인디언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잘못된 정책 및 폭력행위 등에 대해 사과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낭독했다. 이 행사에는 체로키족, 촉토족, 무스코기 족, 포니 족, 시스턴 와페톤 오야테족 다섯 부족 대표들이 참석했다.[156]

7. 한국의 관점

한국은 일제강점기라는 비슷한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어, 미국의 원주민 강제 이주 정책에 대해 더욱 깊이 공감할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한국의 민주주의와 인권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역사적 비극에 대한 관심이 더욱 크다. 더불어민주당은 강제 이주와 같은 인권 유린 행위가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역사적 교훈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참조

[1] 논문 Lies, Damn Lies, and Federal Indian Law: The Ethics of Citing Racist Precedent in Contemporary Federal Indian Law https://socialchange[...] 2023-08-19
[2] 서적 The Cherokee Freedmen: From Emancipation to American Citizenship Greenwood Press 1978
[3] 웹사이트 Beneath the Underdog: Race, Religion, and the Trail of Tears http://www.us-data.o[...] US Data Repository 1998-01-01
[4] 웹사이트 Indian removal https://www.pbs.org/[...] PBS 2017-10-17
[5] 서적 I've Been Here All The While: Black Freedom on Native Lan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1
[6] 서적 Jacksonland: President Jackson, Cherokee Chief John Ross, and a Great American Land Grab Penguin Press 2015
[7] 문서 (하버드 참고문헌 스타일의 인용)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Trail of Tears http://www.cherokee.[...] www.cherokee.org 2017-10-17
[9] 웹사이트 Native Americans http://worldwithoutg[...] 2021-12-01
[10] PhD West of Eden: The Historiography of the Trail of Tears University of Toledo 1995-06-01
[11] 서적 Modern Genocide: The Definitive Resource and Document Collection ABC-CLIO 2014-12-07
[12] 논문 Towards a Theory of Displacement Atrocities: The Cherokee Trail of Tears, The Herero Genocide, and The Pontic Greek Genocide 2016-03-06
[13] 서적 The Age of Genocide: Etiology and Case Studies of Mass Death Greenwood Press 1987
[14] 논문 Genocide-at-Law: An Historic and Contemporary View of the North American Experience 1986
[15] 논문 A Case Study of Indigenous Peoples: Genocide, Ethnocide and Self-determination 1990
[16] 논문 Righting the Wrongs of Native American Removal and Advocating for Tribal Recognition: A Binding Promise, The Trail of Tears, and the Philosophy of Restorative Justice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2021
[17] 학회발표 Native American Genocide: Realities and Denials 2019-04-13
[18] 논문 Can there be genocide without the intent to commit genocide? 2007-11-09
[19] 논문 Canada's history wars: indigenous genocide and public memory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2015
[20] 논문 From Colonialism to Denial of California Genocide to Misrepresentations: Special Issue on Indigenous Struggles in the Americas 2014
[21] 논문 Ongoing Genocides and the Need for Healing: The Cases of Native and African Americans 2021
[22] 논문 A Typology of Genocide 1975
[23]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Routledge 2006
[24] 논문 Andrew Jackson, Black American Slavery, and the Trail of Tears: A Critical Analysis 2021
[25] 논문 The Death of a Nation 1978-06-01
[26] 논문 There Is No Question of American Indian Genocide 2018
[27] MPhil Literary Rendition of Genocide in Cherokee Fiction Tribhuvan University 2013-12-01
[28] MA Decolonizing Cherokee History 1790-1830s: American Indian Holocaust, Genocidal Resistance, and Survival Oklahoma State University 2019-07-01
[29] 서적 Ethnic Cleansing and the Indian: The Crime That Should Haunt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4
[30] 뉴스 On Language: Ethnic Cleansing https://www.nytimes.[...] 1993-03-14
[31] 서적 Axis Rule in Occupied Europe: Laws of Occupation, Analysis of Government, Proposals for Redress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2024-06-24
[32] 서적 Mixed Blood Indians: Racial Construction in the Early South University of Georgia Press
[33] 웹사이트 The Trail of Tears https://www.pbs.org/[...] PBS 2017-10-17
[34] 웹사이트 Indian removal 1814 - 1858 https://www.pbs.org/[...] PBS 2017-10-18
[35] 서적 The new history of Florid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6
[36] 잡지 How Native American Slaveholders Complicate the Trail of Tears Narrative https://www.smithson[...] 2020-09-09
[37] 서적 I've Been Here All The While: Black Freedom on Native Lan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1
[38] 서적 Trail of Tears: The Story of the American Indian Removal 1813-1855 https://archive.org/[...] Wings Books
[39] 서적 Firsting and Lasting: Writing Indians Out of Existence in New Englan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0] 서적 The White Man's Indian: Images of the American Indian, from Columbus to the Present Alfred A. Knopf|Knopf Doubleday Publishing
[41] 서적 Surviving Genocide: Native Nations and the United States from the American Revolution to Bleeding Kansas https://www.jstor.or[...] Yale University Press 2019
[42] 서적 The Long, Bitter Trail: Andrew Jackson and the Indians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2011
[43] 서적 What Hath God Wrought: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 1815–184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4] 서적 An indigenous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worldcat[...] Beacon Press 2014
[45] 웹사이트 President Andrew Jackson's Message to Congress 'On Indian Removal' (1830) https://www.archives[...] 2021-06-25
[46] 학술지 Georgia and the Conversation over Indian Removal http://search.ebscoh[...] 2018-02-15
[47] 서적 The Trail of Tears and Indian removal Greenwood Press 2007
[48] 학술지 Andrew Jackson's Indian Policy: A Reassessment https://www.jstor.or[...] 1969
[49]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50] 서적 Andrew Jackson: The Course of American Democracy, 1833–1845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8-04-10
[51] 웹사이트 Andrew Jackson: Domestic Affairs https://millercenter[...] 2016-10-04
[52] 학술지 Organizing silence: Silence as voice and voice as silence in the narrative exploration of the treaty of New Echota 1997-09
[53] 서적 Roots of Our Renewal: Ethnobotany and Cherokee Environmental Governance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5-05-15
[54] 서적 The Trail of Tears: Forced Removal of Five Civilized Tribes
[55] 서적 The Cherokee Nation and the Trail of Tears Viking
[56] 웹사이트 Trail of Tears http://www.history.c[...] History Channel
[57] 서적 Trail of Tears
[57] 웹사이트 Worcester v. Georgia https://www.oyez.org[...] Oyez
[58] 서적 How the Indians Lost Their Land: Law and Power on the Frontier Harva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The Cherokee Cases: Two Landmark Federal Decisions in the Fight for Sovereignt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60] 서적 The Union at Risk: Jacksonian Democracy, States' Rights and the Nullification Cris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61] 서적 The Trail of Tears Across Missouri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62] 학술지 After John Marshall's Decision: Worcester v Georgia and the Nullification Crisis 1973-11
[63] 학술지 Abuse of Power: Andrew Jackson and the Indian Removal Act of 1830 2003-12
[64] 서적 Genocide and International Justic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64] 웹사이트 Letter to Martin Van Buren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1836 http://www.cherokee.[...] www.cherokee.org/
[65] 웹사이트 Tribes - Native Voices - 1924: American Indians granted U.S. citizenship https://www.nlm.nih.[...]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66] 학술지 An Administrative Trail of Tears: Indian Removal 2014-12-15
[67] 웹사이트 1831 - December - George W. Harkins to the American People http://anpa.ualr.edu[...]
[68] 서적 Choctaws at the Crossroa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9] 웹사이트 Tocqueville and Beaumont on Race http://xroads.virgin[...] 1835–1840
[70] 서적 The Choctaw People Indian Tribal Series
[71] 서적 Southeastern Indians: Since the Removal Era University of Georgia Press
[72] 문서 Missall. pp. 83-85.
[73] 문서 Missall. pp. 93–94.
[74] 서적 Florida's Lost Tribes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04
[75] 웹사이트 Seminole Tribe of Florida https://www.semtribe[...] 2024-02-26
[76] 뉴스 Hostilities of the Seminoles 1836-01-26
[77] 서적 Andrew Jackson: The Course of American Empire, 1767–1821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8] 웹사이트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http://digital.libra[...] Digital.library.okstate.edu 2009-01-25
[79] 웹사이트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http://digital.libra[...] Oklahoma State University Library 2017-10-18
[80] 서적 The Indian Frontier, 1763–1846 (Histories of the American Frontier)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81] 웹사이트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http://digital.libra[...] Digital.library.okstate.edu 2009-01-25
[82] 서적 The Triumph of the Ecunnau-Nuxulgee: Land Speculators, George M. Troup, State Rights, and the Removal of the Creek Indians from Georgia and Alabama, 1825–38 Macon: Mercer University Press
[8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Trail of Tears http://www.cherokee.[...] www.cherokee.org 2017-10-18
[84] 학술지 'To Overawe the Indians and Give Confidence to the Whites': Preparations for the Removal of the Cherokee Nation from Georgia http://search.ebscoh[...] 2018-02-14
[85] 서적 Ties that bind: the story of an Afro-Cherokee family in slavery and free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
[86] 서적 Observations on the Creek and Cherokee Indians American Ethnological Society 1909
[87] 학술지 Social problems among Cherokee females: A study of cultural ambivalence and role identity 1976-06
[88] 학술지 Cherokee Women in Crisis: Trail of Tears, Civil War, and Allotment, 1838-1907 http://dx.doi.org/10[...] 2022-06-10
[89] 학술지 The Blind Eye: Jus Soli, And The "Pretended" Treaty Of New Echota https://digitalcommo[...] 2021-05-24
[90] 학술지 Cherokee Women and the Trail of Tears 1989
[91] 학술지 The Conqueror Meets the Unconquered: Negotiating Cultural Boundaries on the Post-Revolutionary Southern Frontier http://libres.uncg.e[...] 2001-02
[92] 학회 Report
[93] 서적 Family Tree of Daniel and Rachel Davis Claxton Printing Company
[94] 서적 Historical Sketch of the Cherokee Aldine Transaction
[95] 웹사이트 The Trail of Tears in Southern Illinois http://www.fs.usda.g[...] US Forest Service 2015-04-07
[96] 웹사이트 The Cherokee Nation in Southern Illinois http://thesouthern.c[...] 2015-04-07
[97] 학술지 The trail of tears national historic trail https://www.scienced[...] 1996-11-01
[98] 학술지 The Treadmill of Destruction: National Sacrifice Areas and Native Americans https://www.jstor.or[...] 2004
[99] 서적 As long as grass grows: the indigenous fight for environmental justice, from colonization to Standing Rock Beacon Press 2019-04-02
[100] 학술지 The rhetoric of removal and the trail of tears: Cherokee speaking against Jackson's Indian removal policy, 1828–1832 1982-09-01
[101] 웹사이트 Revisiting the Trail of Tears: Tribal Control and Environmental Justice https://www.prindlep[...] 2022-06-10
[102] 서적 Chief John Ross http://www.tennessee[...] Museum of the Cherokee Indian 2010-08-16
[103] 웹사이트 Top 25 American Indian Tribes for the United States: 1990 and 1980 https://www.census.g[...] U.S. Bureau of the Census 1995-08
[104] 뉴스 Visiting Our Past: In frontier days, Asheville forged a high culture enclave https://www.citizen-[...] 2019-07-21
[105] 학술지 The rhetoric of removal and the trail of tears: Cherokee speaking against Jackson's Indian removal policy, 1828–1832 1982-09-01
[106] 논문 Practicing Sovereignty: Colonial Temporalities, Cherokee Justice, and the "Socrates" Writings of John Ridge https://www.jstor.or[...] 2017
[107] 서적 The Guion Miller Roll: Index to the Applications submitted for the Cherokee Roll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7-03-00
[108] 문서 Several thousand more emigrated West from 1844 to 1849 Foreman
[109] 서적 The Choctaw People Indian Tribal Series
[110] 서적 Southeastern Indians: Since the Removal Era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11] 문서 1832 census
[112] 문서
[113] 웹사이트 Chickasaw https://www.okhistor[...] 2021-05-04
[114] 웹사이트 Eastern Cherokee Census Rolls, 1835–1884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5-00-00
[115]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ssioner of Indian Affairs", Office of Indian Affairs, November 25, 1841. https://search.libra[...]
[116] 웹사이트 Genocide and American Indian History https://oxfordre.com[...] 2022-12-09
[117] 서적 Early History of the Creek Indians and Their Neighbors, Issue 73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2
[118] 서적 The Long, Bitter Trail: Andrew Jackson and the Indian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3-07-00
[119] 서적 The Long, Bitter Trail: Andrew Jackson and the Indians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1993-07-00
[120] 뉴스 This Land Is Not Your Land https://www.foreigna[...] 2020-07-00
[121] 논문 Ethnic Cleansing, Memory, and the Origins of the Old South https://www.southern[...] 2008-00-00
[122] 웹사이트 Kelton Lecture Describes Debate Over Genocide of Indigenous Peoples https://news.stonybr[...] 2024-03-13
[123] 서적 What Hath God Wrought: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 1815–1848 Oxford University Press
[124] 서적 Rise of American Democracy: Jefferson To Lincoln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06
[125] 서적 The Presidency of Andrew Jacks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3
[126] 서적 An American Betrayal: Cherokee Patriots and the Trail of Tears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1
[127] 서적 American Indian Wars: The Essential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
[128] 논문 Review: Surviving Genocide: Native Nations and the United States from the American Revolution to Bleeding Kansas 2019
[129] 논문 Settler colonialism and the elimination of the native 2006-12-01
[130] 논문 Review of Dina Gilio-Whitaker, 2019. As long as grass grows: the Indigenous fight for environmental justice, from colonization to Standing Rock http://journals.libr[...] 2019-01-04
[131] 웹사이트 Trail of Tears: History & Cultur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132] 웹사이트 Geographic Resources Division http://imgis.nps.gov[...] National Park Service
[133] 웹사이트 Unto These Hills Drama - Cherokee Historical Association http://www.cherokeeh[...] www.cherokeehistorical.org
[134] 웹사이트 Cherokee Ancestry http://www.aboutcher[...] www.aboutcherokee.com
[135] 웹사이트 Cherokee Nation announces 2022 'Remember the Removal' bike ride participants https://www.cherokee[...] 2022-04-13
[136] 뉴스 Cyclists Take on Trail (pt. 1) https://www.newspape[...] 2024-06-09
[137] 웹사이트 Cherokees to Mark Anniversary of "Trail of Tears" to Oklahoma http://newsok.com/ch[...] News OK
[138] 서적 Family Stories From the Trail of Tears http://www.ualr.edu/[...] American Native Press Archives and Sequoyah Research Center
[139] 웹사이트 NET Playhouse; The Trail of Tears: John Ross https://americanarch[...]
[140] 웹사이트 Birthday Story of Private John G. Burnett, Captain Abraham McClellan's Company, 2nd Regiment, 2nd Brigade, Mounted Infantry, Cherokee Indian Removal, 1838-39. https://www.creolist[...]
[141] 웹사이트 The Trail of Tears http://www.pbs.org/w[...] PBS Online 2007-05-07
[142] 웹사이트 Trail of Tears https://www.history.[...]
[143] 서적 Andrew Jackson
[144] 웹사이트 Letter to President Van Buren http://www.rwe.org/c[...] 1838-04-23
[145] 서적 Great Father
[146] 서적 Amazing Grace: The Story of America's Most Beloved Song Harper Collins
[147] 웹인용 Indian removal http://www.pbs.org/w[...] PBS 2014-06-11
[148] 웹인용 Choctaw Removal was really a "Trail of Tears" http://www.tc.umn.ed[...] 2008-04-28
[149] 웹사이트 Beneath the Underdog: Race, Religion, and the Trail of Tears http://www.us-data.o[...] 2013-01-13
[150] 서적 Jacksonland: President Andrew Jackson, Cherokee Chief John Ross, and a Great American Land Grab Penguin Press
[151] 서적 Great Father
[152] 서적 Cherokee sunset: A Nation Betrayed: A Narrative of Travail and Triumph, Persecution and exile Doubleday
[153] 서적 Black Heritage Sites http://books.google.[...] ALA Editions
[154] 서적 unknown
[155] 웹사이트 The Trail of Tears http://www.crystalin[...]
[156] 뉴스 美정부, 인디언에 과거사 사죄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10-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